제인(Becoming Jane)> 줄거리
영화 <비커밍 제인(Becoming Jane)>은 영국의 대문호 제인의 젊은 시절을 그린 영화이다. 제인 오스틴은 18세기말 영국 햄프셔 (Hampshire) 인근의 가정에서 태어난 여자이다. 문학 전 재능을 가졌지만 그 당시 여자는 결혼과 가정의 제약이 있어 할 수 있는 게 없었다. 영화는 제인 오스틴의 삶에서 사랑과 선택, 창작과 자아실현 사이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흐린다.
제인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집에서 자랐고, 부모님과 오빠들, 여동생 캐산드라등이 가족 구성원이다. 맞벌이 부유층인 귀족 집안에 시집가는 대신 자신이 원하는 삶인 글쓰기를 하고 싶어 했지만, 그 당시 여자들에게 결혼은 안정과 사회적 지위를 뜻했고, 그녀의 어머니와 주변 사람들은 제인이 부와 지위 있는 남자와 결혼하기를 기대했다. 특히 레이디 그리 샘은 제인에게 유리한 결혼을 제안했고, 제인의 부모님도 경제적인 상황을 생각해 결혼을 재촉했다. 그런데 제인은 법률 수습생이자 가난한 변호사 지망생인 토마스와 인연을 맺게 된다. 토마스는 부유하진 않지만 자유로운 정신과 지식을 가진 사람이었고, 제인의 토마스의 제안이나 태도에 깊이 끌리게 된다. 두 사람은 자연스럽게 감정을 키웠지만, 당신 사회적, 경제적 제약과 주변 사람들의 기대가 두 사람을 반대하기 시작했다. 제인은 '내가 결혼한다면 사랑해서 하고 싶다'는 생각을 유지하며 반대로 어머니는 '애정도 좋지만 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하고 말한다. 제인은 글쓰기와 사랑 사이에서 선택을 요구받는 동안, 제인 자신의 문학적 재능과 글에 담긴 마음의 세계를 표현하려 한다. 영화는 제인이 편지 쓰기, 관찰자로서의 삶, 그리고 결국 작가로서의 자각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결혼을 포기하거나 연기하면서도 자신의 글쓰기로 세상은 관찰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마음을 보여준다.
영화 <비커밍 제인(Becoming Jane)> 등장인물
영화 <비커밍 제인(Becoming Jane)>의 등장인물은 제인 오스틴이다. 내향적이지만 지적인 감수성, 글쓰기 욕망을 가진 여자이며 사회적 기대에 반항하고 사랑과 문학 사이에서 고민한다. 다음으로는 토마스 랭로이스 레프로이다 가난하지만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젊은 남자이며, 제인에게 자극과 연인을 넘어 친구이자 지적인 동반자로 나타난다. 메리 오스틴은 제인의 어머니로, 현실적인 결혼과 경제적 안정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제인이 자신의 재능보다 결혼을 하길 바라는 인물이다. 리처드 오스틴은 가족을 책임지는 가장이며 제인의 독립적 태도와 갈등을 겪는다. 마지막으로 레이디 그리섐은 귀족 여성으로 제인에게 유리한 결혼을 권유하는 인물이며, 사회적 위계와 결혼 제도의 상징이다.
영화 <비커밍 제인(Becoming Jane)>평점
영화 <비커밍 제인(Becoming Jane)>은 고전적이면서 매우 세심한 여자 주인공의 내면의 여정을 담은 영화이다. 제인이 글을 쓰고 싶어 하면서도 사랑과 결혼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은 지금 현재시대에도 충분히 공감 가능한 주제이다. 특히 여성 작가의 삶, 재능과 독립성, 그리고 당시 사회적 방식에 도전하는 모습들이 잘 보여주고 있다.
제인이 친구와의 결혼 제안에 맞서 자신의 글쓰기 시간을 지키는 순간, 레프로이와의 대화 속에서 문학, 사랑, 인생에 대해 묻는 장면, 그리고 제인이 마지막에 자신의 길을 받아들이며 글쓰기를 향해 나아가는 태도 등 많은 장면들이 특히 인상 깊고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서 성장 드라마로 보이게 한다.
영화 <비커밍 제인(Becoming Jane)> 명언
“What value will there ever be in life, if we are not together?”
“우리가 함께하지 않는다면, 인생에서 무슨 가치가 있을까?”
“Affection is desirable. Money is absolutely indispensable!”
“애정은 바람직하나, 돈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A novel must show how the world truly is… somehow, reveals the true source of our actions.”
“소설은 이 세상이 진짜 어떤 곳인지 보여야 한다… 어쩌면 우리의 행동의 진정한 근원을 드러낼 것이다.”
“Could I really have this? You.”
“정말 이걸 가질 수 있을까? 당신을.”
“I am yours. Heart and soul. I am yours.”
“난 당신 것이에요. 마음도 영혼도. 난 당신 것이에요.”